▶4면 < 미국과 이란 > 에 이어 1988년 7월 8일 아침, 페르시아만의 공해 수 역을 순찰 중이던 유도 미사일 순양함 USS 빈센스호가 이란 포함과 교전을 벌이던 중 이 란 영해에 진입했다. 총격전이 벌어지는 동안 또는 그 직후, 빈센스호 승무원들은 지나가는 민간 에어버스 여객기를 이란의 F-14 전투기 로 착각했다. 그들은 이 항공기를 격추해 탑 승자 290명 전원이 사망했다.
미국은 이를 비극적이고 유감스러운 사고 라고 불렀지만, 이란은 여객기 격추가 고의 적인 행위라고 여겼다. 1996년 미국은 이란에 1억 3,180만 달러의 배상금을 지불하기로 합 의했다.
1997 ~ 1998: 미국의 접촉 시도 1997 년 8 월, 온건 개혁가인 모하마드 하타미 가 이란 대통령 선거에서 승리했다. 빌 클린 턴 대통령은 기회를 포착했다. 그는 테헤란에 있는 스위스 대사를 통해 테헤란에 직접 정부 간 회담을 제안하는 메시지를 보냈다. 그 직 후인 1998 년 1 월 초, 하타미는 CNN 과의 인 터뷰에서 " 위대한 미국 국민에 대한 존경을 표하고, 테러리즘을 규탄하며 미국과 이란 간 의 " 교수, 작가, 학자, 예술가, 언론인, 관광객 의 교류 " 를 제안했다.
그러나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알리 하메네 이는 이에 동의하지 않았고, 클린턴의 임기 가 끝나갈 때까지 상호 양측은 별다른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. 조지 W. 부시 대통령은 2002 년 연두교서에서 이란, 이라크, 북한을 테러 리즘을 지원하고 대량살상무기를 개발하는 '
|
악의 축 ' 으로 규정하면서 양국 관계를 더욱 악화시켰다.
2002: 이란의 핵 프로그램, 경각심 고조 2002 년 8 월, 망명한 반군 단체는 이란이 이 전에는 공개적으로 드러내지 않았던 두 개의 핵 시설에서 비밀리에 핵무기를 개발하고 있 다고 발표했다. 이는 이란이 서명한 핵확산금 지조약( NPT) 의 조항을 위반한 것으로, 각국 이 핵 관련 시설을 국제 사찰단에 공개하도록 규정하고 있다. 한때 비밀 장소 중 하나인 나 탄즈( Natanz) 에는 우라늄 농축을 위한 원심 분리기가 있었는데, 이 원심분리기는 민간 원 자로에 사용되거나 무기용으로 추가로 더 농 축될 수 있었다. 대략 2005 년부터 미국과 이 스라엘 정부의 사이버 공격자들은 스턱스넷( Stuxnet) 으로 알려진 맞춤형 악성 소프트웨 어를 사용해 나탄즈 원심분리기를 표적으로 삼았다고 알려졌다. 이란의 핵 개발 프로그램 을 지연시키기 위한 이런 시도는 핵폭탄 개발 을 향한 이란의 진전을 저지하기 위한 미국과 국제사회의 수많은 시도 중 하나였으나 대부 분 실패로 끝났다.
2003: 이란, 부시 행정부에 편지 2003 년 5 월, 이란의 고위 관리들은 이란 주재 스위스 대사관을 통해 국무부에 비밀리에 연 락해 핵무기, 테러리즘, 팔레스타인의 저항, 이라크의 안정 등 네 가지 큰 문제를 다루는 "' 상호 존중하는 대화 " 를 모색했다. 부시 행정 부의 강경파들은 주요 화해에는 관심이 없었 다. 하지만 콜린 파월 국무장관이 대화를 선
|
호했고 다른 관리들도 알카에다 문제에 대해 이란과 만났다. 2005 년 이란의 강경파 마흐무 드 아마디네자드가 대통령에 당선되면서 그 기회는 사라졌다. 이듬해 아마디네자드는 부 시 대통령에게 18 쪽짜리 분량의 편지를 보내 워싱턴에 직접 제안했다. 이 편지는 널리 무 시당했다.
2015: 이란 핵 협정 체결 이란의 핵 야망을 억제하려는 10 년 동안의 시도가 실패로 돌아간 후, 오바마 행정부는 2013 년부터 직접적인 외교적 접근을 취했다. 처음에는 미국과 이란 간의 양자간 협상이, 나중에는 다른 핵 보유국들과의 2 년에 걸친 비밀스럽고 직접적인 협상은 종종 이란 핵 협 정이라고 불리는 포괄적 공동행동계획( Joint Comprehensive Plan of Action) 으로 마무 리되었다. 이란, 미국, 중국, 프랑스, 독일, 러시아, 영 국이 2015 년에 이 협정에 서명했다. 이 협정 은 이란의 우라늄 농축 능력을 심각하게 제한 하고, 국제 사찰단이 이란의 핵 합의 준수 여 부를 감시하고 집행할 것을 의무화했다. 그 대가로 이란은 국제와 미국의 경제 제재를 면 제받았다. 사찰단은 이란이 협정 조건을 준수 하고 있다는 것을 정기적으로 인증했지만, 도 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2018 년 5 월 협정을 탈 퇴했다.
2020: 미국 드론, 이란 카셈 솔레이마니 소 장 사살 2020 년 1 월 3 일, 미국 드론이 미사일을 발사
|
해 이란의 정예 쿠드스군 사령관 카셈 솔레이 마니 소장이 사망했다. 분석가들은 솔레이마 니를 최고지도자 아야톨라 하메네이에 이어 이란에서 두 번째로 강력한 인물로 꼽았다. 당시 트럼프 행정부는 솔레이마니가 이 지역 의 미국 자산에 대한 임박한 공격을 지시하고 있다고 주장했지만, 관계자들은 그 주장을 뒷 받침할 명확한 증거를 제시하지 못했다. 이란 은 탄도 미사일을 발사해 이라크의 미군 기지 두 곳을 타격함으로써 대응했다.
2023 년: 10 월 7 일 이스라엘 공격 2023 년 10 월 7 일 하마스의 이스라엘에 대한 무모한 공격은 이스라엘의 무시무시한 군사 적 대응을 불러일으켰다. 이는 오늘날에도 계 속되고 있으며, 이 지역에서 이란의 데리 세 력인 꼭두각시들, 특히 공격의 가해자인 하마 스와 레바논의 헤즈볼라를 심각하게 약화시 키는 데 기여했다.
2025 년: 트럼프 2.0 과 이란 트럼프 대통령은 이란과 새로운 핵 협상을 타결하고 테헤란과 다른 사업 거래를 추진할 기회를 엿봤다. 두 번째 임기를 시작하자마 자 트럼프 대통령은 친구이자 부동산 투자자 스티브 위트코프를 중동 특사로 임명하고 협 상을 이끌도록 했다. 워싱턴과 테헤란 간의 핵 협상은 4 월에 시작되었지만 양국은 합의 에 도달하지 못했다. 6 월 13 일 이스라엘이 일 련의 공습으로 이란을 공격했을 때 백악관은 이란에 대한 입장을 재고하고 새로운 회담을 계획하고 있었다.
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