|
김장철이다. 김치를 직접 담그는 가정이 예 전보다 줄고 있다. 김장을 해도 할머니의‘ 손 맛’ 에는 미치지 못한다. 어릴 때는 친척, 동네 이웃들이 모여 김장을 담그는 것이 일상이었 다. 할머니는 종일 고생한 사람들을 위해 갓 담근 김치에 김이 모락모락 나는 삶은 돼지고 기, 굴 등으로 격려하곤 했다. 김장철에 먹는 돼지고기 수육과 굴에 대해 다시 알아보자.
김장에 지친 사람, 돼지고기 먹는 이유 … 이런 과학적 이유가? 할머니가 김장에 지친 사람들에게 돼지고 기를 제공한 것은 과학적 근거가 있다. 몸의 피로를 줄여주는 비타민 B1( 티아민) 이 많기 때문이다. 피로가 심하고 힘이 빠질 때 도움
|
이 된다. 국립식량과학원 자료에 따르면 돼지 고기 속의 비타민 B1 은 소고기의 10 배나 된 다. 비타민 B1 은 안심 → 뒷다리살 → 앞다리 살 순으로 많다. 비타민 B1 의 하루 권장량은 1.1 ~ 1.3 mg이다. 돼지고기 120g 에 해당하는 양이다. 뒷다리살 칼로리는 삼겹살의 3 분의 1, 단백질은 삼겹살의 1.5 배 들어 있다. |
굴, 김장김치와 시너지 효과 … 여성, 남성의‘ 건 강’ 에 다 좋은 이유?
굴은 김장철이 제철이다. 철분, 마그네슘이 풍
부해 빈혈이 있는 여성에 특히 좋다. 불포화지
방산이 들어 있어 혈관 건강에 도움을 준다. 아
연은 남성의 자양강장에 기여한다. 마늘과 생
강이 들어 있는 갓 담근 김장김치를 곁들이면
|
굴의 철분 흡수를 돕는다. 매운 맛을 내는 마늘
의 알리신, 생강의 진저롤 성분이 균을 물리치
는 효과를 낸다. 굴은 생굴뿐만 아니라 익혀도
영양 변화가 거의 없어 다양하게 요리해서 먹
|
을 수 있다.
배추와 돼지고기, 잘 어울리는 이유 … 혈관, 장 건강에 기여
돼지고기와 배추김치는 서로 단점을 보완해준
다. 식이섬유가 많은 배추는 몸속에서 포화지
방, 콜레스테롤이 많이 쌓이지 않도록 조절한
다. 돼지고기 비계에 많은 포화지방은 혈관, 장
건강에 좋지 않다.
배추의 아이소싸이오시아네이트 성분은 몸속
의 노폐물을 줄이고 김치에 포함된 마늘, 생강,
|
파 등 양념도 육류 섭취로 인해 혈관이 나빠지
지 않도록 돕는다.
고기는 예전처럼 삶아서 … 과거 드물었던 대장 암 왜 폭증하나?
과거 드물었던 대장암이 전체 암 1 위에 오를
기세다. 2022 년에만 3 만 3158 명의 신규환자가 나
왔다. 국가암정보센터에 따르면 포화지방이 많
은 붉은 고기 과다 섭취가 위험 요인이지만, 탈
정도로 구워 먹는 식습관도 영향을 미친다. 삶
아서 먹으면 지방, 탄 부위에서 나오는 발암 물
질을 줄일 수 있다. 예전에는 수육을 먹는 사람
들이 많았지만, 요즘은 구이가 대세다. 김장김
치를 걸쳐 먹는 돼지고기 수육처럼 육류는 삶아
서 먹는 것이 건강에 더 좋다.
|
|
2026 |
10 / 15 / 2025 ~ 12 / 7 / 2025 |